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1) DAC의 개념
(2) DAC의 특징
① 접근 권한을 객체의 소유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자율적 정책이다.
② 허가된 주체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하나의 주체와 객체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③ 접근 통제 목록(ACL ; Access Control List)등을 사용한다.
④ 강제적 접근제어 (MAC) 방식을 대체하는 기술은 아니다.
⑤ 장 · 단점
ㄱ. 장점 : 융통성이 많아 상업적 용도로 사용된다.
ㄴ. 신분(ID)도용 시 통제 방법이 없다.
MAC (Mandatory Access Control)
(1) MAC의 개념
보안레이블(보안등급)을 비교하여 높은 보안을 요하는 정보가 낮은 보안수준의 주체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접근을 제한하는 접근통제 방법이다.
(2) MAC의 주요 특징
① 접근승인은 보안레벨(level)과 카테고리(category)로 구성되는 보안레이블(Security label)에 의해
제한된다.
② 접근정책은 시스템(system)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정의되기 대문에 Rule-based 접근통제라고도 한다.
③ 장 · 단점
ㄱ. 장점 : 보안이 매우 엄격하여 군대와 같은 민감한 정보의 기밀성을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ㄴ. 단점 : 모든 접근에 대해 보안등급을 정의하고 정책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 구현이 어렵다.
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
(1) RBAC의 개념
(2) RBAC의 주요 특징
① 주체의 역할이나 임무에 따라 객체의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② 조직의 기능 변화나 인사이동에 따른 관리적업무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③ 역할에 따라 설정된 권한만 할당하기에 보안 관리를 아주 단순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④ 알 필요성 원칙, 최소권한 원칙, 직무분리 원칙이 지켜진다.
⑤ 금융기관,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