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3)
해상도 해상도의 개념 -해상도란 컴퓨터 그래픽이 몇 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는가 말해주는 수치이며, 가로x세로 픽셀 수 형태로 표현 됩니다. -1920x1080 이라는건 즉, 이 해상도는 1920 곱하기 1080 = 2,073,600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해상도 임을 뜻합니다. 픽셀수는 화소 수 라고도 하며 높을수록 선명한 화질을 보여줍니다.-현재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해상도인 FHD 해상도는 1920x1080입니다. 해상도의 종류 PPI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른 선명도의 개념이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PPI(Pixel Per Inch) 입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대각선 길이를 구한 후 그것을 인치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60인치 TV 2560x1440대각선 길이 : 약 2,937 / 60인치 = 약..
RMI RMI(Remote Method Invocation) 개념 -원격 메서드 호출로 네트워크상에서 떨어져 있는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 존재하는 메서드를 다른 컴퓨터에서 마치 내 컴퓨터에 있는 듯이 호출해서 사용하게끔 해주는 것이다. Stub & Skeleton 개념 스텁은 객체 그 자체와 동일한 비즈니스 메소드를 가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만, 스텁의 메소드는 비즈니스 로직 자체를 담고있지는 않으며, 클라이언트가 스텁의 비즈니스 메소드를 호출하면 호출된 메소드 명과 매개변수로 전달된 값들이 스트림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스켈레톤에 전달된다. 해당 스트림을 스켈레톤이 받게 되면 스켈레톤은 스트림을 분석하여 어떤 메소드가 요청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서버에 있는 객..
접근 제어 3요소 접근 제어의 개념 -자원에 대한 비 인가된 접근을 감시하고, 접근을 요구하는 이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접근요구가 정당한것인지를 확인, 기록하고, 보안 정책에 근거하여 접근을 승인하거나 거부함으로써 비 인가자에 의한 불법적인 자원접근 및 파괴를 예방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행정적인 관리 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1) DAC의 개념-데이터의 소유자(owner)가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신분 즉 식별자(identity ; ID)에 기초하여 객체에 대해 접근을 제한하는 접근통제 방법이다.--즉. 자원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용자가 자원에 접근하려 했을 때 소유자 맘대로 권한 할당을 해줄 수 있는 것.- (2) DAC의 특징 ① 접근 권한을 객체의 소유자가..